지아이tube♪

마케팅 2강_5분 만에 포털 사이트&기기 별 비중 확인하기 | feat.인터넷트렌드 | 지아이코퍼레이션

이유란 2023. 8. 14. 16:21

 

안녕하세요!

지아이코퍼레이션입니다😉

 

 

 

오늘은 저번 게시물에 이어 마케팅 2강

들고 와보았는데요~👏👏👏

바로 확인하고 싶으실 분들을 위해

링크 걸어놓도록 하겠습니다.

(↑↑↑상단 썸네일 이미지 클릭 시

해당 영상으로 연결됩니다.↑↑↑)

 


 

그럼, 지금부터

[마케팅 2강] 5분 만에 포털 사이트

&기기 별 비중 확인하기

| feat.인터넷트렌드에는 어떤 내용이

담겨 있는지 확인하러 가볼까요~?

 

 

들어가기에 앞서서,

포털사이트의 비중을 파악하는 게

왜 중요할까요?

보시는 장표는 저희 제안서의 일부인데요.

교육 업종에 대한 포털 사이트

비중을 기재한 데이터입니다.

 

 

 

네이버가 약 55%가량 차지하고 있고,

후순위로 구글, 그리고 빙이

차지하고 있습니다.

 

 

즉, 네이버의 검색량이 가장 많을 것

이라는 추정이 아니라,

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득하고자

할 때 꼭 필요한 방법이라고 볼 수

있겠습니다.

 

 

 

그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

네이버를 기준으로 검색광고를

더 설득력 있게 제안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구글에서 '인터넷 트렌드'를 검색해 볼게요.

 

 

 

'인터넷 트렌드'

'로거'라는 트렌드 분석 사이트에서

제공을 하고 있고요.

매월 5억 PV(=Page View, 페이지 뷰)

기준으로 데이터를 추출하기 때문에

신뢰도는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.

 

검색엔진에서

'조회기간', '그래프 형식',

'비교항목', '카테고리'를

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조회기간을 저는 작년 5월부터

올해 5월까지의 데이터를 한 번

확인해 보겠습니다.

 

 

 

그리고 그래프 형식은

파이와 꺾은 선이 있는데요.

 

 

 

꺾은 선을 선택을 하시게 되면

네이버 또는 구글, 아니면

또 다른 목록으로 선택하여

비교 분석을 하실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그럼 우선 파이 차트로 확인을

한 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 

카테고리는 전체 카테고리를

선택하실 수도 있고요.

 

 

 

아니면, 특정 카테고리로

선택하실 수도 있습니다.

저는 이번엔 교육/학원 카테고리로

한 번 확인을 해보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보시게 되면 네이버가 가장 높은 수치인

56%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요.

후순위로 구글, 다음, 빙이 차지하고 있습니다.

 

 

 

하단부를 내려보시면 테이블 형식의

차트도 보실 수가 있는데요.

 

 

 

기간 시작과 기간 끝이라는

데이터가 있습니다.

 

 

 

즉, 2022년 5월 1일 당시에는

네이버가 69%가량 검색량을 차지했지만,

기간 끝 2023년 5월 31일 당시에는

46%가량 비중이 크게 감소했음을

확인할 수가 있습니다.

 

 


반면 구글은 25%로 시작을 했지만,

44%가량 크게 증가한 수치로

구글의 비중이 증가했음을

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다음은 꺾은선 그래프로 한 번

비교 분석을 해보겠습니다.

마찬가지로 네이버와 구글을

비교해 보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파란색 선이 네이버에 해당하고요.

 

 

 

노란색 선은 구글에 해당합니다.

 

 

 

2022년 5월 당시에 네이버가

약 70%가량 점유율을 차지했지만,

점진적으로 크게 감소한 수치를

보이고 있고요.

 

 

 

반면에 구글은 20% 후반의 점유율을

차지했지만, 현재는 약 40% 중반을

차지하면서 거의 네이버와 동일한

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즉, 교육/학원 카테고리에서는

네이버 보다 구글에 대한 점유율이

상당히 높아지고 있고,

현재는 네이버와 구글을

거의 동일한 검색량을 보이고 있음을

데이터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다음은 운영 시스템(OS)에 대해

함께 확인해 볼게요.

 

 

 

기간은 동일하게, 그래프는 파이 그래프로,

카테고리도 동일하게 교육/학원으로

진행을 해보겠습니다.

 

 

결과를 보시면 윈도우가 약 37%가량

비중을 차지하고 있고요.

안드로이드가 36%가량 비중을

차지하고 있으면서 굉장히 유사한 비중을

차지하고 있습니다.

 

 

 

마찬가지로 기간 시작과 기간 끝을

비교해 보았을 때,

 

 

 

윈도우는 약 15%가량

증가했음을 확인할 수가 있고요.

 

 

 

안드로이드는 반면에 12%가량

비중이 감소하면서,

 

 

 ​

교육/학원 카테고리는 윈도우에 대한

검색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, 고

해석할 수 있겠습니다.

오늘은 포털 별 비중,

그리고 OS 아니면 시간대, 요일에 대한

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넷 트렌드

대해 함께 알아보았습니다.

특정한 이벤트를 하실 때나

광고를 운영하실 때 해당 데이터를

사용하시면 조금 더 진성 사용자에 대한

유입 비중을 높이실 수 있습니다.

 


 

이번에도 같이 한 번

지아이코퍼레이션유튜브💻

두 번째 영상 알아보았는데요~

이번 영상의 마지막특별 NG 장면

삽입되어 있으니 끝까지 시청해 주세요!

😉😉😉

그럼 지금까지 지아이코퍼레이션

이었습니다.

감사합니다~~~🙆🧡

 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channel/UC5Ug7gXGmnqpg7hgMJmyZTA?sub_confirmation=1